Georg Philipp Telemann (1681 - 1767)
12 Fantasias for violin solo, TWV 40:14-25 (1735)
No.1 in Eb major, TWV 40:14
(arr. for viola)

Nobuko Imai, viola
Rec, 2003



수도 없이 바뀌는
성곽이나 건축물들의 '복원' 모습을 보노라면
역사의 질곡이라는 말이 왜 생기는지 알 것도 같다.
복원이라는 이름을 걸고, 허물어진 것을 고치기도 하고
멀쩡한 것을 허물고 다시 쌓기도 한다.
'복원(復元)'이라는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사물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림'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원래의 상태? 무엇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을까?
유기물이든 무기물이든 '원래의 상태'로의 복원은 절대로 가능한 일이 아니다.
옛 건축물을 복원한다고 해도 사용되는 부재는 현재의 것이니 원래의 상태일 수 없고,
그것이 지어진 시기의 기술이나 공법과도 전혀 다른 것들이 사용될 터이니 그 또한 그렇다.
무엇보다 그것들을 다루고 깎고 빚고 다듬고 칠하는 사람들이 전혀 다르지 않은가.
돌이나 죽은 나무로 지어진 건축물도 그럴진대
생명을 가진 것을 복원한다는 것은 더욱 그럴 것이다.
복원이 아니라, '새로운 것으로 비슷하게 만들어지는 것'이 정확한 표현 아닐까?
저 광화문도 또 뜯어고쳤으니
사진의 모습과는 많이 달라졌겠지.

서양 음악 한 꼭지 올려놓으면서 드는 생각의 갈피가 어수선하다.
나는, 부모님이 나눠 주신 생명으로 태어난
그 '원래의 상태'를 잘 유지하고 있는가?
택도 없을 일이다.


+ Recent posts